병원에서 퇴원한 이후로 계속 재활병원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버짓의 문제로 약 5일간 연기가 된다는 전화를 받았다. 어서 빨리 재활을 시작하고 싶은데 계속 집에서 대기를 해야만 하였다. 퇴원하고 2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재활을 시작할 수 있었다. 한번도 경험하지 않은 시설에 가는 것이라 조금 걱정을 하긴 하였지만 나름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었고, 그리고 사람들도 친절하여 안도가 된다. 재활병원에서의 생활은 닥 두단어로 요약되는 듯 싶다. 운동과 독일어 공부 총 6시간의 재활훈련 시스템에서 30%는 세미나 및 개별 상담을 하고 나머지 70%는 운동이 이 시간들을 채우고 있다. 심장을 다시 이전처럼 제대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많은 운동을 겪어야만 했다. 운동이야 이전에도 계속 하던 것이라서 그리 어려움을 느끼진 않았으나 독일 병원들보다 더 열악한 재활병원에서 점심끼니를 때우다 보니 매번 한숨이 나온다. 우리같은 심장 환자는 식단을 잘 조절해야 해서 그렇다고 치더라도 다른 골반이나 무릎 부상 환자들도 덩달아 특이한? 식단을 먹어야 하는데 다들 점심을 먹는게 고역인 듯 싶다. 내 기억으로는 지금까지 거쳐간 어느 병원보다 더 떨어지는 식사가 여기서 제공된다. 음식을 싸가면 되지 않느냐고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는데 그러면 결국 내 음식은 버리게 되고 그게 또 걸리는 나는 어리석게도 매 끼니를 하나도 남김없이 먹어치웠다. 첫날 나온 이 야채스튜는 충격 그 자체였다. 당근, 완두콩, 콩줄기, 컬리플라워, 컬리플라워 몸통으로 만든 스튜인데 그냥 물에 삶고 아무런 조미료도 넣지 않았다. 예전에 한국이 전쟁으로 아주 어려웠을 때에도 이렇게는 안먹었을텐데 말이다. 이날 사람들이 음식에 충격을 먹고 분노하여 세미나 시간에 불만을 엄청 토로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건 독일사람이건 누구건 먹을 수 없는 음식이다. 둘째날 음식인 비건 파스타다. 그냥 케챱 섞은 듯 하다. 셋째날에 플렌트베이스 음식을 처음 먹어봤다. 콩으로 만든 슈니첼인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