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큰 일을 겪고난 이후에 많은 사람들이 새 삶을 얻었다고 생각하라고 많이들 격려해 주었다. 새 삶이라, 지금까지 한번도 염두에 두지 않았던 주제라서 갑자기 나에게 다가오니 다소 어색하긴 하다. 사고가 있은지 한달이 지났고, 그 사고 전과 다른 부분은 생각할 시간이 많이 주어졌고, 그리고 생각을 많이 하려고 하는 것도 있다. 어떻게 새 삶을 살아야 올바른 삶이 될 것인지에 대하여도 나름 생각의 지분을 나누어서 틈틈히 되뇌이곤 하였으나 딱히 떠오르는 것은 없고, 뭘 어떻게 해야할지도 모르겠다. 예전에 가끔 새 삶을 산 사람들의 변천사 같은걸 TV나 인터넷글에서 본 기억이 얼핏 있는데 거기에 나오는 대단한 사람들의 대단한 이야기처럼 큰 변혁이 있는 삶은 어려울 것 같고, 그리고 아쉽게도 지금의 나는 다소 기력이 떨어진, 의욕이 엄청 앞서지는 않은 40대의 아저씨가 되어 버려서 어쨌거나 무리한 삶은 어렵지 않나 싶다. 다행일지 아니면 다행이 아닐지는 모르겠으나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히 하고 싶었던 일들을 해왔어서 지금에 와서 아.. 예전에 못했던 걸 해보자 하는 다소 충동적인 삶의 욕구는 따로 없고, 그리고 예전에 못이룬 꿈을 이제와 다시 실현시켜보자 하기에도 예전의 꿈들은 지금에 와선 그리 매력적이지 않은 목표들이 되었다. 혹은 지금 다시 하기에는 늦은 감이 있지 않나 싶다. 10대에는 꿈이 남을 웃기는 사람 혹은 요리사였는데 남을 웃기는 사람은 내 자신이 딱히 남을 웃길 수 있는 재능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일찌감치 깨닫게 되어 아주 멀리 떨어진 꿈이 되었고, 요리사는 40대가 될 때 까지 요리를 해오며 내가 요리하는 것 보다 남의 음식을 먹는게 더 행복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아주 어린 시절의 꿈들은 이제 놓아줘야할 듯 하다. 20대에 꾼 3가지 꿈들 중 2가지는 얼추 이루었고, 마지막 1가지인 호스텔 사장은 나름 카우치서핑을 하면서 비슷하게 충족을 시켜 주었고, 그리고 숙박업 또한 참 힘들구나 하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어 이것도 이제 안녕을 고해야 한...